리모델링 비용 및 트렌드 정보

도배 장판 견적표 (2025년 최신)

우리집강아지귀여워 2025. 3. 24. 00:53

도배 장판 견적표 및 시공 가이드 (2025년 최신): 평수별 예상 비용부터 자재 선택, 시공 팁까지

집 인테리어 중에서도 가장 널리 시행되는 공사가 바로 도배와 장판 시공이다. 상대적으로 공사 기간이 짧고 비용 부담도 크지 않으며, 전체적인 공간 분위기를 크게 바꿀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이 선택한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도배·장판 시공의 평수별 견적표, 자재별 단가, 업체 선택 팁, 셀프 시공 여부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1. 도배·장판 시공 개요

항목 설명

도배 벽지(합지, 실크, 친환경 등)를 기존 벽 위에 붙이는 공사
장판 PVC 장판 또는 장판 타일 등을 바닥에 시공하는 작업
평수 계산법 실평수가 아닌 벽면·바닥 면적 기준 → 1평 시공 시 실제 자재는 1.3~1.5평 사용량 예상됨

💡 전체 시공 시, 보통 도배가 장판보다 약간 더 높은 단가를 형성하지만, 자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 2025년 도배·장판 평수별 견적표 (기본 자재 기준, 실측 전 예상가)

실평수 (아파트 기준) 도배 (합지 기준) 도배 (실크 기준) 장판 (기본 PVC 기준) 총 시공 예산 (중간가 기준)

10평형 (오피스텔, 원룸) 약 25~35만 원 약 40~60만 원 약 25~35만 원 70~90만 원
20평형 (소형 아파트) 약 50~70만 원 약 80~120만 원 약 50~70만 원 130~180만 원
30평형 (가장 보편형) 약 80~100만 원 약 130~180만 원 약 70~90만 원 180~250만 원
40평형 이상 약 110~140만 원 약 180~250만 원 약 90~120만 원 250~350만 원 이상

💡 위 견적은 철거비, 몰딩, 추가 보강 등 미포함 기준이며, 자재 등급이나 브랜드에 따라 가격 차이 존재


3. 자재별 단가 및 특징

✅ 도배 자재 종류

종류 단가(평당) 특징

합지 벽지 7,000~10,000원 가장 보편적인 종이벽지, 저렴하고 무난함
실크 벽지 12,000~18,000원 비닐 코팅 처리로 오염 방지, 촉감 부드러움, 가격은 다소 높음
친환경 벽지 15,000~25,000원 새집증후군 방지, 아토피·알러지 민감층에 적합

✅ 장판 자재 종류

종류 단가(평당) 특징

PVC 장판 8,000~13,000원 가장 흔한 장판, 시공 간편하고 저렴한 가격
장판 타일 15,000~25,000원 고급스러운 느낌, 부분 교체 가능, 방음 성능 향상
강화마루(비장판) 25,000~40,000원 고급 자재, 내구성 뛰어남, 시공 비용도 높음 (장판과는 다름)

4. 부가 비용 항목

항목 예상 비용 비고

기존 벽지/장판 철거 평당 1,000~3,000원 곰팡이 제거, 시멘트 보강 등 포함될 수 있음
몰딩 마감 전체 5만~15만 원 장판 마감 몰딩 설치 시 추가됨
방충망 교체 창당 2만~3만 원 도배 시 함께 진행 많이 함
방수·곰팡이 보강 1면당 1만~5만 원 곰팡이 심한 벽면 보강 필요 시 적용

💡 시공 전에는 반드시 현장 실측 견적을 받아야 정확한 총비용 파악 가능


5. 시공 업체 선택 팁

항목 확인 포인트

포트폴리오 확인 시공 사례 사진, 블로그 후기 등으로 시공 퀄리티 판단 가능
자재 브랜드 명시 '실크벽지'라고만 하지 말고, LG하우시스, 개나리벽지 등 실제 브랜드 명기 여부 확인
AS 여부 확인 시공 하자 발생 시 1년 이내 무상 보수 가능 여부 필수 확인
전체 견적서 요청 평당 단가 외 총액, 추가비용 여부 포함된 견적서 받아보기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 업체 정식 등록 여부 + 부가세 포함 여부 확인

6. 셀프 시공 가능 여부 및 장단점

구분 셀프 도배/장판 시공 시 고려사항

장점 인건비 절감(최대 50%↓), 원하는 자재 직접 선택 가능
단점 벽면 손질, 본드 작업 등 난이도 높음, 실수 시 자재 손해 발생 가능성 높음
권장 수준 원룸, 작은 방 등 5평 이하 공간은 도전해볼 수 있음
도움되는 도구 커터칼, 롤러, 풀바르개, 벽지솔, 실측 자 등

✅ 마무리하며

도배·장판 시공은 집안 분위기를 바꾸는 가장 기본적인 인테리어 작업이지만, 자재 선택과 시공 품질에 따라 만족도와 유지 기간이 크게 달라진다. 단순히 가격만 보고 선택하기보다는, 자재 브랜드, 마감 상태, 추가 비용 여부까지 꼼꼼히 따져보고 실측 견적을 받아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30평형 이상의 시공은 전문 업체의 책임 시공이 안정적이며, 소형 공간이라면 셀프 시공으로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